Knowledge/Basic20 합성(Synthesis) 이란? 목차 한마디로,RTL Design를 SDC와 UPF 그리고 실제 Fab에서 사용할 Standard Cell와 Hard Macro IP의 Liberty(DB로 변환해서 사용)까지 위 모든 input들을 기반으로 Gate-Level의 Net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반도체 설계의 과정 중 하나인 합성(Synthesis)은 RTL 설계를 실제 하드웨어로 구현 가능한 게이트 수준(Gate-Level)의 회로로 변환하는 핵심 단계입니다. 합성이란 무엇인가? 합성은 HDL(Hardware Description Language)로 작성된 RTL 코드를 바탕으로, 논리 게이트 수준의 넷리스트(Netlist)를 생성하는 과정입니다. Register-Level에서 Gate-Level로 변환 합니다. Pre-Netlis.. 2025. 6. 24. Unicast, Multicast, Broadcast 목차 유니캐스트 (Unicast)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에 자신의 MAC 주소와 목적지의 MAC주소를 첨부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동일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시스템들은 목적지 MAC주소를 받아서 자신의 MAC과 비교 후 처리하거나, 버립니다.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컬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시스템에게 프레임을 보내는 방식입니다.브로드캐스트용 주소가 미리 정해져 있고, 이주소가 오면 패킷을 자신의 CPU로 전송 처리합니다.모든 시스템에게 패킷이 전송되므로, 트래픽이 증가하고, 성능 저하도 발생합니다.목적지의 MAC주소를 알지못하거나, 모든 시스템에 알려야 하는 경우, 라우터끼리 정보를 교환하거나 새로운 라우터를 찾는 경우 이용합니다.멀티캐스트 (Multicas.. 2025. 1. 11. Full Duplex(전이중), Half Duplex(반이중), Simplex(단방향) 목차 Full Duplex두 장치 간 통신선이 두 개(송신선, 수신선) 있습니다.송신선과 수신선이 각각 존재하므로 데이터 송신과 동시에 수신이 가능합니다. Half Duplex두 디바이스 간 통신선이 하나입니다. 한쪽 디바이스에서 송신과 수신 모두 가능합니다.하나의 통신선으로 송신과 수신을 해야 하므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습니다. 한쪽이 송신 시 다른 쪽에서는 수신만 가능합니다.양쪽에서 전송시 충돌이 발생합니다. CSMA/CD와 같은 통신방식으로 충돌을 보안해야합니다. Simplex두 디바이스 간 통신선이 하나입니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이 미리 정해져 있어 한쪽으로만 전송 가능합니다. 2024. 11. 16. 반도체 설계 약자/약어/용어 목차SoC PHY Physical Layer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주문형 반도체IPIntellectual Property지적재산권VIPVerification Intellectual Property검증에 사용되는 IP들을 의미한다. protected 되어 검증을 위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VMTVera Modeling TechnologySynopsys에서 UVM 이전에 사용하던 VIPSVTSystemVerilog Verification TechnologyBFMBus Functional Model검증에 필요한 시퀀스를 가지고 있는 ModelSKEW가장 빨리 도달하는 신호와 가장 늦게 도달하는 신호의 차이 Delay [DELAY] = [CELL_DE.. 2024. 11. 14. CSMA/CA + AMP이란? 목차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Collision Avoidance with Arbitration on Message Priority CAN 통신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반이중 통신일때 신호간 충돌이 발생했을때 충돌에 대한 대응 방식을 기존 CSMA/CA에 추가한 방식입니다.CSMA/CACarrier Sense : 회선(매체)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전송 여부 식별하여) Multiple Access : 누구든 동시에 접근할 수 있으면서 (우선순위 없이 누구나)Collision Avoidance: 충돌을 피한다. 충돌을 감지하는 것이 쉽지 않거나, 충돌을 감지 후 전달하는 별도의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비효율적일때, CSMA/CA를 사용합니다. 주로 무선에서 사용되는 방식입니.. 2024. 11. 1. 2차원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이산 코사인 변환 목차 DCT 흔히 DCT라 부르는 DCT2, DCT역변환은 DCT3이자 IDCT(Inverse DCT)라 부릅니다. 간단하게 DCT2는 공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방법입니다. 흔히 사용하는 이미지 확장자 JPEG라는 국제 표준 손실 영상 압축 알고리즘의 중심에는 DCT가 있습니다. DCT를 사용하는 이유? 결국에 DCT를 하는 목적은 공간 영역(Spatial Domain)에서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으로 바꾸기 위해 입니다. 저주파와 고주파를 분리하는 작업이기도 합니다. 앞서 JPEG에서 DCT를 주로 사용한다고 했습니다. JPEG의 목적은 사람이 보는 이미지 화질(인지화질)이 크게 떨어지지 않으면서 용량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이미지나 영상을 주파수영역으로 바꾸게 되면 인.. 2023. 7. 23. SoC ASIC Flow(디지털 반도체 설계) 목차Front End FlowDesign Specification, RTL Design디자인의 스펙을 정하고, IP를 선정 및 구매하고 필요에 따라 logic를 설계하고 Integration 하는 과정입니다. 현재는 주로 Verilog HDL를 사용합니다. Design VerificationCoverege 100%를 목표로 보통 UVM환경에서 Simulation를 통해 디자인의 오류가 없는지 점검하고, 모든 코드들을 검증합니다. 기능적인 측면을 중점으로 검증이 이뤄집니다. Soft IP가 주 대상이며, Hard IP의 경우 model를 물립니다. VCS, Xcelium 같은 Tool를 주로 사용합니다. Logic SynthesisSDC(Synopsys Design Constraint)를 작성하고 공정에.. 2023. 7. 20. bps란? 목차 bps란? bit per second의 약자입니다. bps 단위는 초당 전송되는 0과 1로 구성된 이진수 단위입니다. 초당 통신하는 bit수입니다. 다운로드, 업로드, 인터넷 속도를 표현할때 자주 쓰입니다. 주파수 * bit line = bps 예를 들어 이더넷 GMII 인터페이스의 경우 125MHz로 8bit data line입니다. "bps는 125MHz * 8 = 약 1000MHz = 1Gbps" 가 됩니다. Kbps? Mbps? Gbps? K=2^10 = 약 10^3 M=2^20 = 약 10^6 G=2^30 = 약 10^9 간단합니다. bps앞에 K(킬로), M(메가), G(기가) 붙는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2023. 7. 17. Jamming signal이란? 2023.07.10 - [Knowledge] - CSMA/CD란? CSMA/CD란?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Carrier Sense : 회선(매체)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전송 여부 식별하여) Multiple Access : 누구든 동시에 접근할 수 있으면서 (우선순위 없이 누구나) Collision Det vir-us.tistory.com CSMA/CD에서 Jam 신호는 데이터 충돌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프레임 전송 중에 충돌이 감지되면 전송 스테이션은 해당 프레임 전송을 중지하고 대신 Jam 신호를 전송합니다. 이 신호는 충돌이 발생했음을 네트워크의 다른 모든 스테이션에 알리는 역할을 하며 전송을 중단해야 합니다. .. 2023. 7. 1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